부산지역 활쏘기 역사와 문화-⑪ 금정산성 활터 승영사찰 범어사, 국청사, 해월사 등 호국사찰 유적지 부산에 있는 금정산성은 왜구의 침략을 방어하기 위해 1701년 축조되었으며, 국내에서 가장 큰 산성이다. 풍광이 멋져 많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부산의 명소이다. 금정산성의 북동쪽에는 요새와 같은 지형의 명당에 범어사가 있으며, 산
부산지역 활쏘기 역사와 문화-⑩ 다대포 활쏘기 다대포진 군영과 민간사정의 활쏘기가 함께 발전 다대포진(多大浦鎭)은 조선시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포에 설치된 수군첨절제사의 진영으로 임진왜란 전 원래 부산 진관에 속해 있던 다대포 만호영이 목도(현 영도)에서 왜구를 무찌른 공으로 첨사영(僉使營)으로 승격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부산지역 활쏘기 역사와 문화-⑨ 기장군 관덕정 기장읍성 남문 밖 200미터 지점에 위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내에 있는 기장읍성은 전체 둘레가 1.6km 정도 되며, 1356년(공민왕 5) 고려시대에 축성되어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몇 차례에 걸쳐 개축 또는 증축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에는 이 성을 방패삼아 왜구와 맞서
국궁의 정치학: 예사(禮射) 대사례는 국왕이 주관하는 활쏘기 의례 [어사례도 御射禮圖-①] 국궁의 정치학: 예사(禮射) 김기훈(전통활쏘기 연구회) 국궁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보면서 가장 먼
부산지역 활쏘기 역사와 문화-⑧ 좌수영 명후정 경상좌수영 성안에 설치된 수군 활터 명후정은 경상도좌수영성 안에 1829년 건립되어 활쏘기를 익히던 활터이다. 현재 위치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사적공원이며, 활터 유적은 남아있지 않고 기록으로 전해지고 있다. 활터의 위치는 사정기문과 경상도좌수영관아배치도 등을 통해 개략적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서울 석호정, 추석연휴기간 폐쇄 등 운영부실 개선필요 명절 기간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 공간 전면 개방해야..... 서울 남산 소재 전통활터인 석호정은 1주일에 4일간만 예약하여 2,000원씩 내고 2시간만 이용할 수 있다. 코로나기간동안에 예약시스템이 가동하여 지금껏 지속되고 있다. 일부 사람들만의 독점적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란다. 그런데, 추석연
부산 연제구궁도협회장기 및 사직정 개정 30주년 궁도대회 성황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전통활터 사직정(사두 장오현)은 9월 3일 1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연제구궁도협회장기 및 사직정 개정 30주년 궁도대회’를 성황리에 마쳤다. 연일 비가 오던 날씨가 대회를 맞아 모처럼 갠 여름의
활쏘기에서 호흡은 어떻게 하나? 거궁부터 살당김에서 발시까지의 호흡법은 활쏘기에서 사법 논쟁은 다양하며 활터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종종 일어난다. 사법 논쟁은 옳고 그름을 떠나 더 나은 활쏘기를 향한 궁사들의 지속적인 공부의 모습이며, 반구저기(反求諸己)를 실천하는 행동으로 보여진다. 지난 2022년 국궁신문에서 운영하는 밴드에서 「
전통문화산업 체계적 육성 기반 마련 - 8. 24. 「전통문화산업 진흥법」 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 짜임새 있는 육성 체계 구축 및 범부처 협업으로 전통문화산업 융·복합 촉진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전통문화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통문화산업 진흥법」 제정안이 8월 24일(목) 국회 본회의를 통
한·중·일 전통활쏘기 문화의 현황과 전망 세미나 성료 국궁계 최초로 열린 온·오프라인 국제세미나 활쏘기 학술회의 기록 파주시에 있는 영집궁시박물관(관장 유세현, 국가무형문화재 47호 궁시장)에서 지난 토요일인 8월 12일 오후 2시부터 ‘현대 한·중·일 전통활쏘기 문화의 현
대학부 선수, 춘천 전국대회 일반부 출전 장려상 수상 지난 8월 5일 3일간에 걸쳐 강원도 춘천시 호반정에서 열린 「제13회 대한13도의군 의암류인석도총재배 전국궁도대회」에 서울권에 있는 대학부 선수가 일반부에 출전하여 장려상 수상 등의 좋은 성적을 올려 참가 선수들의 관심을 끌었다. 전국대회 일반부에 참가한 대학부 선수
부산 사직정에서 2030 엑스포 유치 기원 홍보 영상 촬영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원을 위한 ‘New Wave Busan’영상이 8월 8일 부산 연제구에 있는 전통활터 사직정(사두 장오현)에서 실시간 촬영으로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방송되었다. [사직정 소개] ‘New Wave Bu
춘천 호반정, 대한13도의군 의암류인석도총재배 전국대회 성황리 열려 제13회 대한13도의군 의암류인석도총재배 전국궁도대회가 8월 5일 춘천시궁도협회 주관, 호반정 주최로 강원도 춘천시에 있는 전통활터 호반정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8월 5일 오전 8시 단체전 개사를 시작으로 정순경기가 진행된 대회는 오전 11시에는 경기를
세미나 예정, 2023 현대 한중일 전통활쏘기 문화의 현황과 전망 파주 영집궁시박물관에서 8월 12일 예정 오는 8월 12(토)일 파주시에 있는 영집궁시박물관(관장 유세현)에서 오후 2시부터 ‘현대 한중일 전통활쏘기 문화의 현황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전통활쏘기연구회 주최로 2023년 하계 세미나가 열릴 예정이다. 이번 행사
양평정의 독특한 신사 교육과 그 의미의 발견 주시안과 주손이 일치하는 동측지배가 시수에 유리 [경기도 양평군 양평정 전경] 양평정의 독특한 신사 교육과 그 의미의 발견 김기훈(육사 명예 교수) 아무리 장소가 넓고 시설 환경이 좋아도 방문하는 이들이 그곳을 운영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느끼
고전시문, 마음을 곧게 하면 관중이라네..... 조선 후기의 학자 성종극의 시문집인 석계집에 실린 활쏘기와 관련한 오언율시이다. 짧은 시문이지만 당시의 활쏘기를 대하는 마음과 인식이 잘 표현되어 있다. 앞서 소개한 「금호정기」 기문과 함께 마음에 담아둘만 하다. 【편집자주】 한국문집총간 > 석계집 > 석계집권 일 &g
온깍지협회, 사습 대회 마쳐 지난 3월 출범한 (사)온깍지협회(대표 정진명)는 7월 22일 청주에 있는 활터 장수바위터에서 회원 대다수가 참가한 가운데 ‘제7회 온깍지 사습 대회’를 열었다. (사)온깍지협회의 사습은 『조선의 궁술』에 나온 대로 실력을 가름하여 단계에 따른 자격을 부여하는 '소살판', '
칠언절구, 바람 자고 밝은 날 활쏘기 하니 고전번역서 > 고봉전서 > 고봉집 제1권 > 시(詩) 【국역】 목백과 함께 술을 마시다 바람 자고 밝은 날 활쏘기 하니 잔 돌리며 과녁 맞히매 좋은 경쟁이로세 벌주가 한도 없이 쌓였으니 빈한한 선비가 부질없이 놀라누나 ※ 잔...돌리며…
부산협회장기 궁도대회 성황리 마쳐 부산광역시궁도협회(회장 김중돈)는 지난 7월 16일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전통활터 사직정에서 부산시내 230여명의 궁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29회 부산광역시궁도협회장기 대회를 개최했다. 비가 오는 궂은 날씨 속에서 치러진 이날 대회는 오전 9시부터 개인전 및 단체
주술도구로 활용한 활과 화살 한국 민간전승의 활/화살과 주구 상징 연구 108년 된 마을공동체 조직‘정릉공청회’ - 국립민속박물관, 학술지『민속학연구』52호 발간 -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민속학 전문 학술지인 『민속학연구』 제52호를 발간하였다. 『민속학연구』는 민속학, 인류학, 역사학, 박물관학 등